새 프로젝트 생성
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에는
npx create-react-app 프로젝트이름
을 써주면된다.
부트스트랩 사용하기
https://react-bootstrap.netlify.app/getting-started/introduction/
React-Bootstrap
The most popular front-end framework, rebuilt for React.
react-bootstrap.github.io
위 링크에서 쓰여진 대로 따라하면 된다.
터미널에
npm install react-bootstrap bootstrap
을 입력하고
각각의 components 들을 import 해와주면 된다.
만약 내가 Button을 사용한다면
import Button from 'react-bootstrap/Button';
이런식으로 쓸 수 있지만 그냥 from 의 범위를 더 넓게 잡고
import { Button } from 'react-bootstrap';
이런식으로 써서 { } 안만 수정해주는게 일단은 편하게 사용할수 있을 것 같다.
아래는 예시
import { Button, Container, Nav, Navbar } from "react-bootstrap";
이미지 넣기
대문을 만들어 보려고 한다.
App.js
<div className="main-bg"></div>
main-bg 는 css 파일에서 따로 꾸며주었다.
.main-bg{
height: 300px;
background-image: url(./img/bg.JPG);
background-size: cover;
background-position: center;
}
이미지(src 폴더에 있음)는 저런식으로 url을 작성해주면 된다.
만약에 html 에서 src 폴더의 이미지를 넣고싶으면 import 를 먼저 해주고 사용한다.
import bg from './bg.png'
이런식으로 쓰고 bg 를 활용하면 된다. 여기서 bg 는 내가 작명한 변수다.
화면 3등분 하기(부트스트랩 이용)
react-bootstrap 사이트에서 grid 라고 검색해서 나오는 것을 응용해봤다.
import { Button, Container, Nav, Navbar, Row, Col } from "react-bootstrap";
<Row>
<Col sm>sm=true</Col>
<Col sm>sm=true</Col>
<Col sm>sm=true</Col>
</Row>
public 폴더
보통 src 폴더에는 여러 코드가 들어가있고
이미지 같은 static 파일은 public 폴더에 넣어도 된다.
리액트는 build 할때에 모든 코드들을 한 파일로 압축해주는 작업을 한다.
근데 public 폴더에 있는 것만 그대로 보존을 한다.
-> 그래서 수정이 필요없는 static 파일은 public 에 보관해도 된다.
여기에 있는 이미지는 img url 경로를 그냥
/이미지경로
이렇게 써주면 돼서 편리하다. 하지만 이제 ~~.com/다른경로 에 배포를 해야하는 경우에는
그 이미지 파일을 못 찾을 수 있다.
process.env.PUBLIC_URL
이걸 더해주면 작동하긴한다.